본문 바로가기

Google Ad manager/게재

소재

소재

사용자가 웹페이지 또는 앱에서 보게되는 실제 광고

이미지,동영상,html5 또는 기타 유형중 무엇이든 소재는 광고를 전다하는 그릇과 같음




소재는 광고 항목에 추가되고 광고 항목이 타겟팅된 광고단위,키 값등에 게재되도록 선택된 경우에 표시

소재는 보통 광고주가 제공


소재추가 3가지 방법이 있음


소재 라이브러리에서는 소재를 제공한 특정 광고주에게 소재를 연결하고 

이러한 광고주에 연결된 모든 주문에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음


광고 항목을 설정할 때 소재를 추가하거나 기존 광고 항목에 추가 할 수도 있음


이미지소재:jpg gif 또는 png 형식의 이미지 파일

플래시소재:오디오,애니메이션,동영상 및 상호작용을 포함 

광고주가 정지 이미지 파일 이상인 플래시를 원할때 사용되는 파일

(휴대기기및 일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x)

양방향 광고에서는 HTML5형식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있음


HTML5 소재는 HTML코드와 모든 애셋,또는 소재가 다른 곳에서 호스팅되는 경우

애셋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zip파일


제3자소재는 별도의 제3자서버에서 호스팅 되는 소재로

구글애드매니저에서 서버를 호출하는 코드 스니펫을 사용하여 페이지에 소재를 전달 


소재에는 광고 항목 이외에도 자체적인 수준의 타겟팅이 있음




이미지 광고 소재 




고밀도를 등록할수도 있음 (이미지 크기가 선택한 밀도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함)



대상위치

클릭URL : 사용자를 웹사이트로 연결

클릭 투 앱URL : 사용자를 특정 앱으로 연결 (핸드폰만 사용가능)

전화번호 : 기기로 특정 전화번호에 전화를 거는것 (핸드폰만 사용가능,전화를 걸수있는 기기에만 사용가능)


타겟광고 단위 크기:타겟 광고 단위가 지원할 수 있는 크기를 선택 가능 

(광고 소재의 광고 항목이 하나의 크기만 지원 할 수 있는 경우 설정변경x)




파일이 로컬 컴퓨터에 없고 외부 애드서버에  호스팅되는 경우 

원격 이미지 사용 클릭

해당 광고 소재는 광고 소재가 게재되는 캠페인 기간내내 이 위치에 있어야함



라벨:광고 단위 게재빈도 설정에 지정할 라벨을 적용 할 수있음

다양한 목적으로 항목을 그룹화 하는데 사용 됨


예를 들어 이 이미지 광고 소재를 홈페이지 배너로 게재하고 

이 광고소재를 동일한 광고 단위에서 동일한 사용자에게 하루에 두번까지만 게재하고싶은 경우

해당 라벨이 전체 네트워크 또는 특정 광고 단위에 대해 생성 되고 여기에 있는 광고 소재에 적용됨

따라서 이 광고 소재는 이 라벨이 지정된 다른 광고 소재와 더불어 동일한 광고 단위에서 동일한 사용자들에게 하루에 2번까지만 표시됨????????????????



맞춤입력란:공고주문,광고항목,광고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추가 입력란(보고서에서 항목을 정리하는데 사용)

맞춤 입력란이 있는 광고 소재에 대해 구체적인 보고서를 실행할수있음

관리-맞춤입력란 택에서 생성 가능


타사노출수URL:타사 추적서비스에서 노출수를 추적해야하는 경우 


대체택스트:이미지광고 소재와 함께 사용되는 선택적 텍스트로 주요 접근성을 목적으로함

대체텍스트는 스크린 리더로 읽을수 있으며 이미지가 사용중지된 경우에도 표시됨


방향: 휴대기기에 표시되는 광고 소재에 사용됨

모든방향- 선택하면 기기의 방향에 따라 광고 소재를 회전

세로-기기의 실제 방향과 상관없이 광고 소재를 세로 방향으로 유지

가로-기기의 실제 방향과 상관없이 광고 소재를 가로 방향으로 유지



인터페이스에서 미리보기를 확인할수 없는 경우 새창에서 미리보기를 확인 할수 있음




HTML 소재 



플래시파일이 구식이 된 이유

크고 불편하며 더 긴 페이지 로드 시간을 초래

많은 기기와 브라우저에 지원x


상실 노출문제 , 광고와 제대로 상호작용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됨


HTML5소재는 HTML코드와 소스파일로 구성

소스 파일은 실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파일로 이루어져있음

코드는 이러한 파일을 모으고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방식 또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지시를 소스 파일에 전달함


HTML5소재를 트래피킹할때는 

HTML 파일이 포함된 zip파일과 참조파일이 필요








HTML5파일을 업로드했을 경우에

파일크기는 2MB를 초과할 수 없음


모든 클릭 태그 이름과 연결된 클릭연결URL이 있는 목록이 표시됨

클릭 태그는 광고 서버가 광고 클릭수를 추적하도록 허용하고 HTML5소재 내 클릭연결URL을 정의 

클릭연결URL을 변경해야하는 경우 옆에있는 연결 아이콘을 클릭해서 변경


특히 HTML5소재가 플래시 파일에서 변환된 경우 더욱 그럼

몇몇 변환기는 이를 정상적으로 해석하고 변환하지 못할 수도 있음

클릭연결 URL에 문제가 있는 경우 클릭 태그부터 확인해보아야함

클릭태그는 광고 서버에서 쉽게 읽을 수 있으니 


광고단위크기: 업로드된 파일의 정보를 읽을때 크기를 자동으로 확인 가능 

수동으로 채워넣는것도 가능(크기를 설정한 후에는 변경x)


SSL compatible: SSL준수 여부를 자동으로 스캔함


SSL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자바스크립트,스타일시트,추적픽셀과 같은 모든 소재 애셋에 보안이 설정 되어있어야함

SSL준수 소재는 HTTPS 및 HTTP 사이트 모두에서 로드 할 수 있지만 

SSL을 준수하지않은 소재는 HTTP사이트에서만 로드할 수 있음




제3자 소재 

타사 광고소재 , 타사 광고 소재를 생성하는 방법



타사 광고 서버는 애드매니저 서버나 내 로컬 컴퓨터가 아닌 타사 서버에서 호스팅 되는 광고 소재파일임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로드하고 애드매니저가 광고를 요청하면 애드매니저가 코드 스니펫을 반환하여 

광고를 호스팅하는 타사 서버로 브라우저를 리디렉션

그럼 타사 서버에서 적합한 광고 소재를 페이지에 게재


과정에는 많은 단계가 있기 때문에 타사 광고 소재에는 일반적으로 20%의 불일치율이 나타남


그 결과 타사에서 노출수가 80개 기록되었을 경우

애드매니저에서는 노출수가 100개로 기록될 수 있음


불일치율 이유: 프로세스가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나갔을 경우 발생


코드 스니펫이 브라우저를 애드매니저가아닌 서버로 리디렉션하기 때문에 

광고 소재가 클릭되었음을 애드매니저에 알리는 장치가 필요함

또한 브라우저가 올바른 게재 프로세스를 거쳐


노출수를 제대로 기록하고 계산하는 대신,이미지를 캐싱하거나 저장해 캐싱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필요함

이러한 장치가 매크로


타사 광고 소재에는 두가지 매크로가 필요함



1.클릭매크로

구글애드매니저가 클릭을 추적할 수 있도록함


2.캐시버스터 매크로

브라우저가 캐시된 이미지를 게재하지 못하도록 하여 애드매니저와 타사 서비스 간의 노출수 계산 불일치를 최소화함


 


이러한 매크로는 타사 호스트가 제공하는 코드 스니펫에 올바르게 삽입되어야함

코드를 어느 부분에 삽입해야할지 모를경우 타사 호스트에게 문의 



타사 광고 소재를 생성하려면 

컴퓨터에서 TXT또는 JS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타사 링크 클릭




구글 애드매니저는 인증된 리치콘텐츠 공급업체의 타사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코드를 지정된 영역에 붙여넣으면 

매크로를 올바른 위치에 자등삽입하는 옵션이 제공됨 


애드매니저가 코드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매크로를 올바른 위치에 직접 삽입해야함

매크로를 삽입할 위치를 잘 모르겠으면  타사 호스트에 문의 


캐시버스터 매크로


이스케이프 처리된 클릭매크

click 뒤에 삽입


매크로 삽입이 완료되면 매크로가 삽입되었습니다 라고 메시지가 표시됨 ->매크로가 삽입 되었다는것의 의미 , 올바른 위치삽입 여부 x 





타겟 광고 단위 크기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라벨추가 


SSL compatible

안전한 사이트, 즉 'https'로 시작하는 사이트에서 게재되는지를 나타냄

기본적으로 애드매니저는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함


safeFrame: API가 사용설정된 iframe으로 광고 같은 iframe 내의 콘텐츠와 게시자 페이지간의 통신을 허용




구글애드매니저 에서는 광고 노출수가 계산되고 있지만 광고 소재가 페이지에 랜더링 되고 있지 않은경우

타사 코드에 문제가 있는것

애드매니저는 광고 게재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노출수를 계산하지만 타사에서 실제로 광고 소재를 반환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코드에 문제가 있을수도 있음





캠페인매니저 소재 태그 

Campaign Manager 또는 다른 Ad Manager 네트워크에서 호스팅하는 광고 소재를 트래피킹하는 권장되는 방식
광고 소재 스니펫이 아닌 URL을 사용하여 광고 소재를 트래피킹하세요
광고 소재 트래피킹이 원활해지고 보고서 불일치도 감소함



애드매니저태그 광고 소재 및 이를 구글애드 매니저에 추가하는 방법


애드매니저태그  광고 소재는 타사 광고 소재처럼 

브라우저에서 애드매니저에 요청하여 발생 한 후 애드매니저가 해당 광고 소재에 대한 검색으로 리디렉션 되기 때문에 

'내부 리디렉션' 광고 소재라고도 함 




리디렉션 URL

DFA 또는 DCM에서 호스팅 되는 광고 소재의 주소

리디렉션 URL은 애드매니저 시스템이 광고 소재를 찾는데 사용하는 경로 이외의 구글 게시자 태그, 단순 URL등에 사용되지 않음

리드렉션 URL을 추가한 다음 '테스트'버튼을 클릭하여 URL이 올바르게 입력되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라벨:게재빈도 설정 광고 소재에 설정 할수 있음

특정 기간에 동일한 광고 소재가 동일한 사용자에게 표시 될 수있는 횟수가 제한됨을 의미함


 


'Google Ad manager > 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표시 로테이션 시간 빈도등  (0) 2018.12.14
광고 항목  (0)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