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도토리 2018. 12. 13. 15:47

ads.txt.파일

승인된 인벤토리 판매자임을 밝힐수 있음



ads.txt파일이 루트 수준 도메인에서 호스팅 되면 공개적인 확인 및 크롤링이 구매자,제3자 공급업체,광고 거래에서 가능함

ads.txt사용은 의무는 아니지만 구글에서는 적극 권장함




의도적으로 특정 도메인에서 생성된 것으로 라벨이 잘못 지정된 위조 인벤토리부터 브랜드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

또한 승인된 판매자를 선언하면 위조 인벤토리에 사용되었을 수도 있는 광고주 지출비를 더 확보하는데 도움이 됨



ads.txt 파일에는 내 인벤토리를 판매하도록

승인된 각 광고 거래 또는 SSP라고도 하는 공급측 플랫폼의 계정이 공개적으로 선언 되어있어야함




아래의 내용처럼 코드 전달후 ads.tet 파일에 추가해달라고 해야함




프로그래매틱 광고 세계에서 프리미엄 매체사의 인벤토리 투명성을 위해 IAB Tech Lab에서 adx.txt스펙을 발표했습니다.

(https://iabtechlab.com/ads-txt/)

 

구글 GDN 이에 동참하면서매체사에도 ads.txt 적용하는 것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ads.txt 구글 Adx/Adsense, 앱넥서스 광고 판매시 매체사의 승인된 인벤토리 판매자만 판매 능하도록 선언하는 것입니다.

 

맥스무비 사이트에 ads.txt파일 (http://www.maxmovie.com/ads.txt) 아래 정보를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google.com, pub-3167025647410602, RESELLER, f08c47fec0942fa0

appnexus.com, 2800, RESELLER, f5ab79cb980f1





ads.txt 관리 메뉴에서 들어가면 매체사마다의 ads.txt의 파일을 확인가능